props는 propperties를 줄인 말로 컴포넌트 속성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요소다
props값은 컴포넌트를 불러와 이용하는 부모 컴포넌트에서 설정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.
간단한 예시를 통해서 prop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1.JSX 내부에서 props 렌더링
간단합니다 JSX내부에서 {} 기호로 감싸 주기만 하면 됩니다.
import React from 'react';
const Component1 = props => {
return<div> 이 사람의 이름은 {props.name}이다.</div>'
};
export default Component1
2. 컴포넌트 사용시 props 값 지정.
App.jsf를 통해 Component1.js의 파일을 import 하고 return 값에 export 값으로 지정해준 Component1을 입력하고
yarn start를 진행하면
3. defaultProps
props 값을 따로 지정하지 않고 보여줄 default 값 지정하는 법에 대해서 예시를 보겠습니다.
Component1.defaultProps ={name : "후아유"} 지정을 통해 출력이 가능함을 알 수 있습니다.
'지토의 개발일기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SPA가 도대체 뭐지 . .?? (0) | 2021.09.05 |
---|---|
[React] children, 비구조화 할당 문법 props값 추출 (0) | 2021.09.03 |
[React] 인라인 스타일링 (0) | 2021.09.02 |
[React] And 연산자(&&) 활용한 조건부 렌더링. (0) | 2021.07.15 |
[React] 조건부 연산자 (삼항 연산자) (0) | 2021.07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