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.# (Selector)
#flex {
width: 50px;
margin : auto;
}
▶id선택자이다. (# + 선택자) 의 형태로 id 값을 적용 대상으로 삼으며 , id 사용할때 중요한것은 class와 다르게 한페이지에서 한번만 사용이 가능합니다. 또한 class와의 우선순위는 id>class>태그 순으로 적용된다는점을 알아야 함.
2. .(className)
.btn {
color : blue;
}
▶ Class선택자이다. id와 class의 차이라면 class는 선택자의 대상이 여러개의 요소가 가능하며 자주 사용하는 선택자를
사용하는데 많이 쓰인다. 스타일의 한그룹에 적용할 시에는 class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.
3. *
* {margin: 0; padding : 0;}
▶ *의 경우 페이지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용도입니다. 보통은 margin값과 padding 값으로 세팅을 하려고 많이 사용합니다. 또한 *을 자식선택자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#container * {
border: 1px solid black
}
4. (Selector)
▶ type 속성에 따른 한페이지 안에 있는 모든 요소를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면 type자체를 이용하여 class선택자를 이용하면된다.
a {
color:red;
}
ul {
background-color :
}
ol {
font-size: 50px
}
5. : visited, : link
a: link { color : powderblue}
a: visited {color : skyblue}
▶ visited는 방문했었던 앵커 태그에 특정한 스타일 적용 가능
link는 클릭하기 전에 앵커 태그 전체를 대상으로 함
6. Selector1 > Selctor
▶ 이전에 블로그에서 포스팅 했던 조상 자식 선택자입니다. 앞에서 작성된 포스팅을 확인하면 될거 같습니다.
2021.09.28 - [지토의 개발일기/html + CSS] - [ HTML+CSS] 부모 자식 선택자
7 . Selector1+ Selector2
p + a {color : black}
▶ 인접 선택자로 부터 부를 수 있는 선택자 입니다. 위의 코드를 보면 p태그 뒤에 오는 a태그 첫 번째 텍스트만 검정색
이 됩니다.
9. [속성이름~="속성값"] 선택자
▶ 아래의 예시를 보면 title ~= "first"는 title 선택자에 first 가 들어가 있는 경우 그값만 CSS를 적용하는 것
See the Pen by yeojinho (@yeojinho) on CodePen.
10. Selector [title]
[속성이름="속성값"]
a[title] {color: orange;}
▶ [속성이름="속성값"] 선택자는 특정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, 해당 속성의 속성값까지 일치하는 요소를 모두 선택합니다.
See the Pen by yeojinho (@yeojinho) on CodePen.
'지토의 개발일기 > html +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TML+CSS] 반응 선택자 , 상태 선택자 (0) | 2021.09.28 |
---|---|
[HTML+CSS] 기억하면 좋은 CSS 선택자 (Selector) (2) (0) | 2021.09.28 |
[HTML+CSS] 가상의 선택자 (0) | 2021.09.28 |
[ HTML+CSS] 부모 자식 선택자 (0) | 2021.09.28 |
[HTML+CSS] 선택자와 선언 (Selctor & Declation) (0) | 2021.09.28 |